개요
오늘 AWS Summit Seoul 2025가 개최되었다. 오프라인 참관은 온라인으로 미리 신청한 사람들만 입장할 수 있다.
그럼 미리 신청 못한 사람들은 못보나? 그건 아니다. 실시간 스트리밍도 해주고, 추후에 영상으로도 공개된다.(아마도?)
AWS Summit은 2015년에 첫 개최되어, 2025년 현재 11회째를 맞이하였다. 올해는 5월 14일 부터 5월 15일 까지 진행되고, 서울 코엑스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된다.
혹시 내일 가시는 분들 중 이 글을 보신분들을 위해 약간의 팁을 공유하자면, 입장 등록은 3층 D홀에서 가능하다. 나처럼 1층에서 사람 구경하지말고 3층으로 바로 올라가면 된다. (위 사진이 입장 등록을 위한 공간인데, 줄이 매우 길다.)
입장 등록을 하면 목에 걸고다니는 이름표를 받을 수 있고, 행사장 이동할때 마다 이름표를 찍고 입장하면 된다. 그리고 선착순으로 런치 박스 교환권을 제공하는데, 나는 9시 넘어서 입장 등록을 했는데도 런치 박스 교환권을 받을 수 있었다.
런치 박스 구성은 치킨샐러드 반조각, 과일, 샐러드 랩, 오렌지 주소, 마카롱 등등이 주어지는데, 샌드위치 말고 샐러드로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행사 구성 및 주요 세션
2일간 진행되는 행사지만 110개의 세션이 준비 되어있다. 그리고 인기 많은 세션은 금방 입장이 마감되기 때문에, 미리 이동하거나최대한 빨리 이동하는 걸 추천한다.
그리고 줄이 길기 때문에, 내가 지금 서는 줄이 내가 들으려는 세션이 맞는지 확실히 확인하고 줄을 서야한다. 주변에 'Ask ME' 라는 옷을 입은 분들이 많은데, 그 분들 잡고 물어보면 잘 알려 주신다.
만약 듣고 싶은 세션이 마감된다면 슬퍼하지말고, 라이브 스트리밍을 틀어서 보면된다. 나는 몰라서 못했다.
라이브 스트리밍 등록 👉 aws.amazon.com
Industry Day (5월 14일)
첫날은 산업별 혁신 사례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AWS Korea 함기호 대표의 오프닝을 시작으로, Yasser Alsaied AWS IoT 부사장, 현대카드 배경화 부사장, 트웰브랩스 이재성 CEO가 기조연설을 통해 생성형 AI 중심의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이후 10개 트랙, 60여 개의 주제별 세부 강연이 진행되었으며, 리테일, 금융, 제조, 게임,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최신 기술 트렌드와 비즈니스 혁신 사례가 소개되었다.
Core Service Day (5월 15일)
둘째 날은 AWS의 핵심 기술과 서비스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Amazon의 CTO Dr. Werner Vogels, 데이터베이스 및 AI 부사장인 Deepak Singh, 삼성전자 서치영 상무, 티맵모빌리티 김재순 CTO가 기조연설을 진행한다고 한다.
Core Service Day 는 9개 트랙, 50여 개의 서비스별 세부 강연이 진행되며, 생성형 AI 및 머신러닝 응용, 개발자 역량 강화, 데이터 분석 현대화, 현대적 클라우드 인프라,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운영 및 복원력, 보안 및 거버넌스, 애플리케이션 및 비즈니스 현대화 등 다양한 주제가 다뤄질 예정이라고 한다.
전체 세션 목록 👉 AWS.amazon.com
체험형 부스 및 전시
또한 1층 B홀에서는 다양한 체험형 부스가 이목을 끌었다. 사진을 많이 찍지는 않았는데, 기억에 남는건 Amazon Q를 이용한 코딩 문제 풀이 대회랑 아래 사진과 같은 게임을 하는 전시가 기억에 남는다.
그리고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스크린 골프 체험, 한국을 대표하는 유명 만화가의 스타일로 그려진 나만의 캐릭터를 생성하고 실시간 대화를 통해 스토리를 만들 수 있는 체험등이 있었다.
조금 아쉬운점은 기업들이 홍보를 위해 왔는데, 뭘 홍보하려는건지.. 잘 모르겠었다. 그냥 설문 조사 참여를 독려하고 상품을 나눠주는게 끝이었다.
내가 참관하려고 했던 세션은 아래 5개인데, 입장 마감으로 "LLM Observability: LLM의 거짓말(Hallucination)을 잡아내는 법" 세션을 듣지 못했다. 👴
참관 세션 목록
1. 생성형 AI의 핵심 트렌드와 비즈니스 혁신
발표자
- 슬라빅 디미트로비치, AI/ML 솔루션즈 아키텍트 디렉터, AWS
- AWS김선수, AI/ML 사업개발 스페셜리스트, AWS
내용 요약
생성형 AI 도입 초기의 언어 모델 중심 관심이 이제는 데이터 연계, 보안, 에이전트 구현 등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기업이 공통적으로 겪는 니즈와 AWS의 대응 전략 및 기술 접근 방안을 소개합니다.
2. LLM Observability: LLM의 거짓말(Hallucination)을 잡아내는 법
발표자
- 이성욱, SE Manager, Datadog
내용 요약
LLM의 잘못된 응답(Hallucination)이나 보안 이슈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Datadog 기반으로 설명합니다. 효과적인 Observability 전략을 통해 품질 향상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달성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3. Amazon Bedrock 기반 Text-to-SQL로 완성하는 데이터 혁신
발표자
- 박진현, 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 김탄, Software Engineer, Data, 당근페이
내용 요약
당근페이는 Amazon Bedrock 기반 Text-to-SQL 플랫폼을 고도화하여 누구나 자연어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모델 정확도 향상, 데이터 인프라 최적화, 조직 내 데이터 민주화를 위한 실질적인 전략을 공유합니다.
4. Multi-Agent AI로 고객 경험 혁신 및 생산성 향상: 하나투어 사례
발표자
- 전주형, 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 김태권, CTO, 하나투어
- 성진수, 랩장, 하나투어
내용 요약
하나투어는 AWS 기반 생성형 AI 챗봇과 Multi-Agent 시스템을 도입하여 고객 대응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민감 정보 처리 보안 강화, 역할 분리형 에이전트 설계, Fine-tuning 기반 성능 개선 전략을 중심으로 실제 성과를 공유합니다.
5. 대한항공의 AI 대전환: Amazon Bedrock 기반 AI 적용 사례
발표자
- 김영민, 딜리버리 컨설턴트, AWS
- 김혁주, 차장, 대한항공
내용 요약
대한항공은 Amazon Bedrock과 OpenSearch 기반 RAG 챗봇을 글로벌 환경에 적용해 약 900명의 상담원이 활용하는 AI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전사 문서 표준화와 Human-in-the-loop 전략을 통해 PoC를 넘어 실제 프로덕션 환경 적용에 성공했습니다.
글을 마무리 하며..
2022년에 AWS Summit Seoul을 다녀왔었는데, 그때와는 사뭇 느낌이 달랐던 것 같다.
그때는 그냥 놀러가는 느낌이 컸는데, 이번에는 내가 관심 있는 기술 주제도 많았고, 직접 실무와 연결지어볼 수 있는 세션이 많아서 더 집중해서 듣게 되었다.
생성형 AI를 중심으로 다양한 기업들이 실제 어떤 식으로 기술을 활용하고 있는지를 사례 중심으로 설명해줘서 실질적인 인사이트도 많이 얻을 수 있었던거 같다.
내일 열리는 세션도 챙겨봐야겠다.👴
'기타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어니 머신러닝 엔지니어의 이직기 (4) (0) | 2023.12.24 |
---|---|
주니어 머신러닝 엔지니어의 이직기 (3) (0) | 2023.12.23 |
주니어 머신러닝 엔지니어의 이직기 (2) (0) | 2023.11.19 |
주니어 머신러닝 엔지니어의 이직기 (1) (2) | 2023.09.24 |